[성명서] 산으로 간 4대강 사업! 당장 멈춰라!! > 공지/성명/보도

본문 바로가기

공지/성명/보도

[성명서] 산으로 간 4대강 사업! 당장 멈춰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탁영진 작성일20-07-21 10:34 조회682회 댓글0건

본문


39abebef1e7a503208a1fa6cbcc2e6c4_1595295

산으로 간 4대강 사업이다.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 추진, 당장 멈춰라!!!

 

지리산에 산악열차와 모노레일을 건설하는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로 구성된 지리산산악열차반대 대책위원회가 711일 출범하였다. 지리산을 끼고 그 품에서 살아가고 있는 전남과 전북·경남환경운동연합과 환경운동연합(중앙)은 대책위와 그 뜻을 같이 하기로 한다.

 

공공 150억 원, 민자 1500억 원을 들여 악양-형제봉을 잇는 2.2모노레일, 형제봉-도심마을을 잇는 3.6케이블카, 삼성궁-형제봉에 15산악열차 건설, 이것이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이른바 지리산 산악관광개발사업 3종 세트이다. 민족의 영산이라 불리우는 지리산에 이같은 일을 벌인다니, 기가 찬 일이다. 형제봉은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이며 ()반달곰친구들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반달가슴곰(천연기념물 329, 멸종위기야생생물 1)서식이 대량 확인된 곳이다.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로 반달가슴곰 서식지가 파괴될 것은 자명하다.

2006년부터 20년 가까이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하는 정부 방침과 엇박자로 기획재정부는, 경남도와 하동군, 지역주민, 환경단체 등이 참여하는 한걸음 모델이라는 산림관광 상생조정기구를 만들었다. 산지개발규제완화 여부와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사안을 그럴싸한 협의 모델로 만들어 지리산의 운명을 쥐락펴락하고 있는 것이다. 적폐 청산을 국정 운영의 기치로 걸고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 2019년 산림휴양관광특구 지정, 2020년 산림휴양관광진흥법 추진이 된 것은 박근혜 정권 때부터 이어온 환경 적폐와 다르지 않다. 그동안 중첩된 규제로 묶여 있었던 산지가 산림휴양관광 활성화라는 명분 하에 풀리고, 이제는 4대강 사업이 산으로 가게 될 일만 남게 된 것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란 이름으로 곳곳의 산으로 들어오게 될 산림휴양관광진흥법은 국립공원 개발이 어려우니, 국립공원의 인접지역을 관광특구로 지정하는 편법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형제봉은 지리산 국립공원에 편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너무나 쉽게 이같은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립공원서 배제된 인접 지역이라 하더라도 생태보전의 가치가 높은 지역은 그대로 보전되어야 한다.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 사업으로 지리산이 무너지면 곧 우리나라의 산들이 모두 무너진다.

 

최근 윤상기 하동군수는, 지리산 산악열차 추진 등을 내용으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생각하고 움직이면 늦다. 뛰면서 상상하겠다.”는 말을 했다. 알프스보다 멋진 지리산을 만들어 천만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포부도 같이 밝혔다. 생각하지 않고 뛰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장 한 사람으로 인해 대송산단, 갈사만 민자사업으로 2,260억 원의 빚더미 위에 지역 주민의 갈등과 지리산의 파괴가 이어지고 있다.

탐욕과 개발의 광기로 얼룩진 그늘 앞에서 지리산의 사람은, 지리산의 동식물은 소리쳐 울고 있다. 산으로 간 4대강 사업, 하동군수는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를 전면 백지화하라.

 

 

 

 

 

- 하동군수는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 전면 백지화하라!

기획재정부는 눈감고 아웅인 한걸음 모델을 해체하라!

- 어머니의 산, 지리산을 훼손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

 

 

 

 

 

202077

 

경남환경운동연합, 전남환경운동연합,

전북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성명/보도 목록

게시물 검색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 | 환경부 | 환경운동연합
Copyright © KFEMJinju All rights reserved.
주소 : (52726) 경남 진주시 동진로 34, 7층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정문 앞 7층) 이메일 jinju@kfem.or.kr
전화 : 055) 747-3800 | 055) 746-8700 | 팩스 : 055) 747-5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