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환경뉴스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이슈
환경뉴스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진주환경연합 작성일21-07-27 14:26 조회717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6ddc7c2570dbd3735d5a5112b712eed0_1627363 


[보도자료서해 갯벌의 유네스코 등재를 환영한다
 
문화재청은 26일 44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한 194개국 중 투표권을 가진 21개 위원국이 만장일치로 한국의 갯벌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를 결정했다고 발표했다이는 한국의 갯벌 특히 서해의 갯벌이 가지고 있는 생태 다양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의미가 크다.
그러나 한국의 갯벌이라고 하였지만 서천고창신안보성•순천 네 지역의 갯벌만이 등재된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 2019년 이 네 지역이 갯벌을 공동으로 유네스코 자연유산으로 등재하려고 했을 때 한국 갯벌 면적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인천광역시가 함께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지난 5월 유네스코 자문 심사기구인 국제자연보존연맹(ICUN)은 한국의 갯벌이 지구상의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서식지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인천 경기에 존재하는 갯벌을 포함시키지 않아 자연유산구역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반려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번 유네스코자연유산 인정에서도 국제자연보존연맹의 의견을 받아들여한국 갯벌의 미지정 지역에 대한 유네스코자연유산 등재 노력을 조건으로 4년 후에 다시 심의하기로 한 점은 주목하여야 한다인천광역시의 노력 여하에 따라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자연유산으로서의 지위를 계속 갖느냐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인천이 갖는 남북한의 접경이라는 지리적 특성과남북의 평화적 교류의 교두보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인천의 깃대종인 저어새가 남북의 갯벌을 오가며 서식하는 생태적 특성을 더해남한과 북한 갯벌의 유네스코 자연유산 동시 등재를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면 이를 계기로 막혀있는 남북 소통의 숨통을 틀 수 있을 것이다.
 
2021년 7월 27
한국전쟁 정전일에

47634_1625748941.pn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환경뉴스 목록

Total 509건 1 페이지
환경뉴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9 세계는 기후소송 중 인기글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8-03 590
508 사람 혈액에서 플라스틱 첫 검출! 인기글첨부파일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3-28 522
507 죽음이 드리운 제주바다, 사막이 생기고 있다 인기글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9-17 833
506 <인터뷰> 홍종호교수, 탄소중립 안 하면 경제가 죽는다 인기글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9-06 654
505 2002년생 청소년 기후활동가는 왜 탄소중립위를 사퇴했을까? 인기글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9-02 675
504 .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8-19 723
503 시민들, 지리산 성삼재/정령치 주차장 철거 행동나서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8-09 704
502 .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8-05 709
501 제주 제2공항 무산시킨 '환경영향평가' 그게 뭐길래 인기글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8-03 651
열람중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인기글첨부파일관련링크 진주환경연합 07-27 718
499 멸종위기종 서식지, 희망교~남강댐 일부 구간만 자전거도로 설치 인기글 탁영진 05-13 858
498 .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12-11 1034
497 . 댓글3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7-21 1517
496 남강변 아름다운 생태계 보존해야!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5-18 1225
495 .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jj 04-29 1152
게시물 검색

X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KFEMJinju All rights reserved. 주소 : (52726) 경남 진주시 동진로 34, 7층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정문 앞 7층)
이메일 jinju@kfem.or.kr 전화 : 055) 747-3800 | 055) 746-8700 | 팩스 : 055) 747-588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