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탈원전 선언 5년, 에너지혁명이 시작됐다 > 탈핵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이슈
탈핵

독일 탈원전 선언 5년, 에너지혁명이 시작됐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탁영진 작성일16-06-14 11:50 조회794회 댓글0건

본문

독일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탈원전 선언’을 한 지 5년이 지났다. 2011년 5월, 독일은 2022년까지 17기의 원전을 완전히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현재까지 9기의 원전을 중단시켰고, 남은 8기도 차례대로 폐쇄시킬 계획이다. 핵발전이 전력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원전은 발전량의 14.1%를 공급했는데, 이는 2005년 26.2%에서 크게 떨어진 것은 물론, 재생에너지의 비중 30%보다 두 배 가량 낮다. 바로 지난달, 세계 경제규모 5위국에서 풍력과 태양광을 비롯한 재생에너지로만 한시적이나마 거의 100%의 전력을 모두 공급했다는 소식은 ‘탈원전 선언’ 5년 후 독일의 변화를 잘 보여준 대목이다.

하지만 독일의 ‘에너지 전환’을 둘러싼 오해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지난 4월 말, 독일연방정부의 초청으로 독일을 방문해 먼저 환경 싱크탱크인 에콜로직연구소(Ecologic Institute)를 방문한 가운데, 연구소 설립자 안드레아스 크래머는 탈원전과 에너지 전환이 “후쿠시마 사고 이후 갑자기 결정됐다”는 통념은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어떤 에너지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해 독일은 오랜 기간 논의해 다수의 합의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1960년대부터 원전이 건설된 이후 1970년대 말 미국 스리마일 사고, 1986년에 일어난 체르노빌 사고에 대한 교훈으로 독일에서는 탈원전에 대한 여론이 확산됐다. 1990년부터 주택 태양광 보급 계획을 비롯해 2000년 기준가격구매제도 도입에 이르는 정책 흐름으로 이어졌다. 2000년, 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의 연합정부에 의해 탈원전이 최초로 결정됐다. 하지만 이후 보수당 정권이 들어서면서 기존의 합의를 깨뜨리고 원전을 가동 연장하기로 했다. 결국, 후쿠시마 사고로 인해 메르켈 총리는 정책 방향을 다시 탈원전으로 선회할 수밖에 없었다. 탈원전과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독일 사회가 30년 가까이 추구해온 노력이었지, 최근 갑자기 결정한 것으로 봐선 안 된다.

올해로 꼭 30년 전에 발생한 체르노빌 사고는 위험한 원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강력한 경고음으로 작용했다. 독일 연방의회에서 만난 바벨 횐 독일 녹색당 의원은 당시 상황과 관련해 “체르노빌 사고 소식을 1주일을 넘겨서야, 그것도 (사고 발생국인) 러시아가 아닌 스웨덴을 통해 처음으로 접하게 됐다. 방사능 구름이 왔지만 그 실태에 대해 몰랐던 것이다. 당시 젊은 엄마들은 아이들이 밖에서 놀아도 되는지에 대해 고민이 많았다”고 회상했다.

1999년 집권한 사민당과 녹색당의 연합정부는 원전의 단계적 폐쇄와 그 대안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내세웠다. 횐 의원은 “전력회사의 정치적 영향력은 매우 컸다. 대형 전력회사는 시민들이 에너지를 직접 만드는 발상을 싫어했고 그저 소비자에 만족하기를 원했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가 빠른 성장을 보이는 한편 재래식 에너지 산업계의 저항도 여전히 남아있다.

german-nuclear-phaseout-kr

두 번째 오해는 에너지 전환이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에너지 비용을 상승시킨 효과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독일에서 재생에너지 분야의 고용 인구는 약 37만 명에 이른다. 재생에너지 산업은 이미 일자리 창출과 세수를 크게 늘려 경제의 주요 동력으로 자리잡았다. 재생에너지는 농촌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풍력 등 상당수 재생에너지가 농촌 지역에 있기 때문이다. 농촌 공동체는 재생에너지를 직접 소유·운영하거나 임대료를 통해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얻게 됐다.

바벨 횐 의원은 농부들이 에너지전환의 주역이라며 “곡물과 가축 분뇨를 활용한 바이오매스나 풍력은 농부들에게 안정적인 수입원이 됐다”면서 “독일 북부의 저소득 지역도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와 소유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얻었다”고 말했다.

게다가 재생에너지는 이미 화석연료나 원전보다 경제성을 갖추면서 오히려 전력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독일의 에너지 싱크탱크인 아고라의 다니엘 아기로폴러스 선임연구원은 현재 풍력과 태양광 발전단가가 원전은 물론 석탄 화력발전에 비해서도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육상 풍력은 kWh당 6-9 유로센트, 태양광은 8-9 유로센트의 발전단가를 나타낸 가운데, 석탄은 7-11 유로센트, 원전은 6-13 유로센트(영국의 힝클리포인트C 원전의 단가는 11.3유로센트)로 분석됐다.

세 번째 오해는 에너지 전환은 독일만 하는 ‘특수한’ 사례라는 시각이다. 독일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국제적으로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복제’되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이 역시 맞지 않다. 독일이 처음 도입한 재생에너지 기준가격구매제도(Feed-in Tariff)는 전 세계 77개 국가에서 시행 중이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전력 고정단가를 정하고 장기간(독일에선 20년) 동안 공급한 전력을 구매해 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을 보장하는 제도다. 오늘날 재생에너지의 신규 투자는 선진국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와 같은 개발도상국으로 대대적으로 이동하고 있다.

유럽연합 대부분 국가도 더 이상 원전에 신규 투자를 하지 않거나 탈원전 법안을 채택했다. 석탄이나 석유를 거래하던 시기도 서서히 저물고 있다. 그 대신 점차 많은 기업들은 태양광, 풍력, 스마트그리드를 비롯한 재생에너지 기술을 거래하는 방향으로 이동 중이다.

또 다른 중요한 지점은 에너지 전환은 탈원전뿐 아니라 탈 화석연료를 수반한다는 것이다. 독일의 에너지 정책은 온실가스 저감,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에 대해 각각 의욕적인 목표를 채택했다. 온실가스는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40% 감축, 2050년까지 80-95% 감축하고, 그리고 재생에너지를 2020년까지 전력 공급의 35%, 2050년까지 80% 확대하며, 동시에 1차 에너지 소비량은 2008년 대비 2020년까지 20%, 2050년까지 50% 줄이겠다는 단기적이고 장기적인 목표를 수립해 이행 중이다.

german-grid-issue-kr

물론,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설비가 밀집한 북부 지역과 에너지 주요 소비지인 서남부 지역을 잇는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게다가 북부엔 다수의 해상 풍력이 들어설 계획이다). 독일 경제에너지부(BMWi) 우훌라 보락 국제에너지정책국 부국장은 “송전시설은 수용성이 낮아 고압 송전탑에 대한 반대가 높다”고 설명했다. 송전선로 확충뿐 아니라 전력 저장이나 전력망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력 중심의 재생에너지에서 벗어나 전력-수송-열 에너지가 연계되면서 에너지 저장과 수요관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도 활발히 논의 중이다.

그럼에도, 재생에너지 확대가 더 빠르고 전면적으로 추진될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독일 정부가 재생에너지로 2050년 전력 생산량의 80%를 공급하겠다는 목표와 관련해 크래머는 “2050년 이전에 재생에너지로 100% 공급 가능하다는 연구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목표가 80%로 채택된 것은 정치경제학적 이유였다. 석탄과 가스 산업계가 미래에도 어느 정도의 지분이 남아있기를 원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1990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독일의 기후변화 목표 달성을 둘러싼 우려도 크다. 2014년 현재까지 감축 실적은 27%에 그쳤다. 전력 공급의 42%를 차지하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여나가는 게 관건이라고 설명한다. 횐 의원은 “탄광을 운영하는 E.ON과 같은 거대 기업이 갖는 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크기 때문에 에너지 전환에 대한 반발이 남아있다. 사민당 역시 석탄 산업계의 눈치를 보며 에너지 전환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연방 선거 이후 차기 정부에서 더 의욕적인 기후변화 대책이 도출될지가 주목된다.

0,,18046283_403,00

에너지 전환으로 인한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는 가장 중요한 쟁점으로 남아있다. 산업계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추가 부담금이 전기 요금을 상승시키는 가운데 산업 경쟁력이 우선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독일 36개 부문의 산업협회(10만 개 기업, 고용인원 8백만 명)을 대표하는 독일산업연맹(BDI)의 데니스 렌츠슈미트 에너지기후 부국장은 “독일은 유럽연합에서 덴마크 다음으로 전기요금이 비싸다면서, 이는 재생에너지 지원을 위한 추가 부담금에서 주로 기인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에너지 전환이 곧 산업을 해친다는 인식과는 거리가 멀다. 화학과 금속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은 국제적 경쟁력 유지를 근거로 재생에너지 추가요금을 감면 받고 있다. 재생에너지도 주요 산업으로 부상한 상황에서 산업계가 일방적 피해자로만 볼 필요도 없게 됐다. 원전 등 플랜트 설비를 담당했던 지멘스가 풍력 분야를 선도하게 된 사례가 대표적이다. 오히려 산업계는 에너지 전환 정책이 독일에서만 아니라 유럽연합 전역에서 함께 추진해 산업 경쟁력 영향을 조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전환에 따른 비용은 시민들이 가장 많이 지불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은 재생에너지를 위해 kWh당 약 6유로센트의 요금을 추가로 더 내고 있다. 하지만 이 수준의 추가 요금은 안전한 에너지 공급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편익을 더 크게 가져오는 ‘사회적 보호장치’로서 인식되면서 시민 다수가 이를 지지하고 있다.

결국 독일 정부가 에너지 전환을 국가 정책으로 채택하기까지는 아래로부터의 대중적 요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어떤 에너지 경로를 선택할지에 대해 활발한 사회적 논의와 이를 대변하는 정치적 활동이 결합됐던 것이다. 독일의 변화는 진행 중이고, 한국을 비롯한 세계가 독일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사진=Ilmari Karonen/WikiMedia

- See more at: http://kfem.or.kr/?p=162120#sthash.QhjwtQh9.dpuf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탈핵 목록

Total 53건 1 페이지
탈핵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원전 이제 그만 인기글 탁영진 06-07 945
공지 원전보다 안전! 인기글 시민참여팀 04-14 764
51 <에너지 진짜 뉴스-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왜 발생했나요?> 인기글 진주환경연합 04-27 481
50 폭염 재난은 원전 세일즈 기회?! 인기글 탁영진 08-06 323
49 탈원전 때문에 전력공급 불안하다?! 왜곡 주장 인기글 탁영진 08-06 328
48 탈핵진주시민행동 "지역 에너지 조례 제정" 등 다양한 제안 인기글 진주환경연합 06-01 387
47 다큐 [내일] 인기글 탁영진 12-01 456
46 신고리 5,6호기를 백지화 해야하는 진짜 이유 인기글 진주환경연합 08-22 512
45 고리1호기 폐쇄, 탈핵의 시대 열리다! 인기글 진주환경연합 06-20 1169
44 "핵 없는 나라 만들자" 탈핵진주시민행동 출범 인기글 진주환경연합 04-25 606
43 판도라는 영화인가? 현실인가? 인기글 탁영진 03-28 594
42 후쿠시마 핵참사 6주기, 암공포에 신음... 댓글1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3-10 572
41 핵폐기물 어떻게 할것인가?(양이원영) 인기글 탁영진 02-27 609
40 월성1호기 수명연장 취소판결! 그런데도 계속 가동중? 인기글 탁영진 02-27 589
39 석탄과 함께 사라지다 인기글 탁영진 02-17 548
38 월성1호기 수명연장 허가 무효소송, 승소 판결 환영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2-07 548
37 [한일국제심포지움] 원전은 고작 40년 가동, 주민의 삶은 100년이 지나도 되돌릴수없다 인기글 탁영진 02-07 985
36 밀양 송전탑 주민 잇단 유죄 "억울" 인기글 탁영진 02-07 448
35 [자료] 환경적폐 청산을 위하여 인기글 탁영진 02-02 378
34 일본산 방사능 수산물 정말 안심해도 되나요? 인기글 탁영진 02-01 705
33 [성명서] 월성원전 가동 즉각 중단하라! 인기글 탁영진 01-09 332
32 박근혜와 함께 청산해야할 과제-원전 인기글 탁영진 01-06 381
31 독일 2022년 원전 모두 폐쇄선언! 인기글 탁영진 10-19 757
30 지진 불안한데 또 신규원전? 인기글 탁영진 10-19 757
29 잘가라 핵발전소 100만서명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10-06 570
28 국내 최대규모 지진, 핵 발전소 위험 인기글 탁영진 09-22 859
27 활성단층대에 심상치 않은 지진 계속 발생 인기글 탁영진 09-22 618
26 월성1호기 반복되는 고장사고 인기글 탁영진 09-22 439
25 20160705 원전밀집지 해역규모 5 지진 인기글 탁영진 09-22 397
24 지진지역에 원전 집중 건설한 대한민국 인기글 탁영진 09-22 612
23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사업 인기글 탁영진 08-23 501
22 주택용누진제 한시적개편, 대책이 될 수 없다 인기글 탁영진 08-23 382
21 당진, 석탄화력 신규 11,12호기 승인 무제한 보류 인기글 탁영진 08-10 695
20 월성1호기 수명연장허가 무효소송 7번째 재판 인기글 탁영진 07-28 588
19 세계 최대 핵발전소 밀집지역 인기글 탁영진 07-06 461
18 원전 밀집지 해역규모 5 지진발생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7-06 806
17 [논평] 신고리3호기 시운전 중 두번째 가동 중단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7-06 542
16 원자력안전위원 7명, 부울경의 미래를 책임질수있나 인기글 탁영진 06-30 819
열람중 독일 탈원전 선언 5년, 에너지혁명이 시작됐다 인기글 탁영진 06-14 795
14 신고리 5 6호기 건설허가 문제점 인기글 탁영진 06-14 498
13 세계최대 핵발전 밀집, 신고리 5.6호기 건설반대 인기글 탁영진 06-07 1115
12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의 문제점 인기글 탁영진 05-18 1555
11 신고리5.6호기 반대하는 이유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5-13 1024
10 [자료] 동아시아 핵발전소 정책전망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4-16 624
9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전기와 수도를 끊었습니다 인기글 탁영진 04-16 704
8 [자료] 수명끝난 원전은 안전할 때 꺼야한다 인기글첨부파일 탁영진 04-16 547
7 [자료] 한국의 원전정책현황과 탈핵운동 인기글첨부파일 시민참여팀 04-16 1069
6 월성원전 주민 방사성물질 삼중수소 검출결과 발표 및 대책 요구 인기글 시민참여팀 04-16 754
5 [논평] 일본수산물 방사능 조사내용 공개와 WTO 제소 대응 민관합동기구 구성하라 인기글 탁영진 04-16 704
4 [논평] '전기요금 인하'는 특혜 누려온 대기업에게 또 특혜 주는 꼴 인기글 탁영진 04-16 515
3 [자료] 에너지시스템에의 도전 "문제와 과제" (양이원영) 인기글첨부파일 시민참여팀 04-14 505
2 다섯살 아이 몸속에 방사성물질, 언제까지 기준치만을 따질것인가? 인기글 시민참여팀 04-14 718
1 [전시회] 핵, 무감각학 현실을 되돌아보게 하는 '핵맹전' 인기글 시민참여팀 04-14 574
게시물 검색

X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KFEMJinju All rights reserved. 주소 : (52726) 경남 진주시 동진로 34, 7층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정문 앞 7층)
이메일 jinju@kfem.or.kr 전화 : 055) 747-3800 | 055) 746-8700 | 팩스 : 055) 747-588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